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골프칼럼] <2368> 무릎 각도가 구질을 바꾼다

어드레스(set up)를 시작으로 볼을 치고 피니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에는 무려 140여개의 근육조직과 기술적 측면이 뒷받침돼야, 한번의 샷이 만들어진다.   물론 여기에는 집중력과 정신적 측면까지 동원해야 한다. 이중 한 가지만 미흡해도 샷은 흔들리고 소기의 목적 달성에 실패한다.   한번의 샷을 위해 여러 기술이 필요하지만 통상적인 실수들은 대개 정해져 있다.   스윙 실수 1순위는 몸의 경직과 헤드업(head up). 다음이 체중이동, 그리고 양발의 무릎 높이(각도)다.  이중 양 무릎 높이는 어드레스 자세 때와는 달리 백 스윙과 다운 스윙에서 높낮이가 변하는 것을 뜻한다.       백 스윙에서는 오른쪽 무릎이 펴지고, 다운 스윙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자신도 모르게 왼쪽 무릎을 펴며 볼을 치거나 볼을 치기 직전, 양 무릎을 피며 임팩트를 맞는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임팩트를 비교할 때 한 눈에 드러나는 것도 양쪽 무릎의 각도다.   물론 매일 꾸준한 연습으로 자신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주말골퍼의 경우 십중팔구, 볼을 치는 순간 무릎이 심하게 펴지기 일쑤다. 바꿔 말해 탑 스윙에서 오른발에 모아진 체중을 왼쪽으로 이동해야 할 임팩트 순간에 무릎이 펴지며 왼쪽으로의 체중 이동을 차단해 양 발 뒤꿈치를 들며 볼을 치는 경우다.   물론 헤드업도 이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구질은 슬라이스 내지는 푸시 아웃(push out), 즉 오른손을 사용, 볼을 우측으로 밀어내거나 탑핑(topping)이 주종을 이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본개념이 바뀌어야 한다.   무릎의 펴짐은 단순한 무릎이 아니라 원인 제공처를 사전에 봉쇄해야 한다. 다시 말해 실수하는 샷이 발생할 경우 결과가 아닌 원인적 측면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으로 주 원인은 체중 이동이 스윙 중간에 멈추는 것이 결정적 요인이다.   임팩트 순간에 체중 이동이 멈추는 것은 임팩트만을 생각한 부산물로, 볼 치기에 급급할 때 체중은 중간에 멈추고, 이에따라 팔로스루도 할 수 없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체중을 넘기면서 왼발 무릎을 펴지 않은 채 볼을 쳐야 클럽 헤드가 목표선을 따라 팔로스루를 끝내며 좋은 구질을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윙 중, 체중이 발바닥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임팩트 전 왼쪽 무릎이 펴지는 이유는 다운스윙에서 오른발 뒤꿈치를 들며 연속적으로 다운 스윙으로 이어질 때 발생한다.     따라서 다운 스윙에서 오른쪽 팔꿈치가 자신의 오른쪽 허리 주위에 도달할 무렵 오른쪽 무릎에 힘을 빼면서 다운스윙의 탄력으로 클럽 헤드를 팔로스루까지 연장해야 한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무릎 각도 왼발 무릎 양쪽 무릎 왼쪽 무릎

2025-04-10

[골프칼럼] <2367> 우뇌 활용해 거리감 찾으라

퍼팅의 생명은 거리감과 방향이다. 연습할 때는 그린에서 홀을 중심으로 반경 1야드 정도의 가상원을 만들어 그 안에 넣는 반복 훈련이 퍼팅을 향상시키는 지름길이다.   골퍼들은 그린에서 숏 펏을 놓치면 ‘열 받는다’며 흥분하곤 한다. 골퍼들이 무심코 하는 이 말의 근원지는 심장을 두고 하는 말인 듯싶다. 우리 몸속에는 약 6만 마일의 혈관이 있으며 이것에 피를 공급하는 것이 심장이다. 그리고 1분에 70회 정도를 박동하지만 ‘꼭’ 넣어야 하는 숏펏의 상황이 되면 심장 박동수는 그 이상이 된다.   이렇게 되면 떨림 증세(yips)까지 겹쳐 그 볼은 십중팔구 컵에 들어가지 못하는 짧은 펏이 되고 마는 경우를 자주 경험했을 것이다. 컵의 깊이는 4인치(102mm), 직경은 4.25인치(108mm)다. 그래서 컵을 두고 108가지의 ‘골프 철학이 숨쉬는 구멍’이라고 한다.   숏펏에서 마음이 급해지면 롱펏도 여유가 없어진다. 숏펏의 실수가 생기면 롱펏도 당황하게 되는 것이다. 가까운 거리에서의 컵은 크게 보이지만 6피트 이상의 거리가 생기면 컵은 더욱 작게 보이며 특히 마음이 조급해지면 광각 현상까지 흐트러진다.   펏의 기본은 거리감과 방향이며 이 두 요소가 합쳐서 하나가 될 때 비로소 볼은 컵(홀)으로 들어간다.   거리와 방향에 대한 필자의 이론은 다음과 같다.   왼손은 방향을 주도하는 키이며 오른손은 거리감을 찾아내는 중요한 속도 조절기와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왼손잡이는 반대) 이 이론에 수긍이 가지 않는다면 양손을 번갈아 가며 시험해 보면 그 원리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방향성에 지속적인 문제가 있다면 집이나 연습그린에서 왼손으로만 볼을 치되 계속해서 하루에 100회 이상, 이틀만 하면 펏은 분명 달라진다.   거리감이 없어 고민하던 골퍼들은 퍼터는 백 속에 넣어두고 10개 정도의 볼만 준비해 그린 주변에서 오른쪽 무릎만 꿇고 왼팔 팔꿈치는 왼발 무릎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목표를 향해 볼을 굴려보자. 처음엔 약 20피트 정도로 시작, 10회 이상 굴린 후 5피트씩 줄여가며 최종 5피트 앞에서 연습을 끝내면 된다.   이러한 연습방법은 우반구 뇌를 훈련시키는 방법이며 몇 번만 반복하면 거리감이 살아나 롱펏이나 숏펏에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우뇌는 공간적 구조화, 패턴 인식을, 좌뇌는 언어 중추와 계산 기능, 이렇게 좌우가 협업한다.   따라서 실전과 같이 퍼터로 볼을 치며 컵을 중심으로 반경 1야드 정도의 가상 원을 만들어 그 안에 넣는 연습도 병행하면 퍼팅 훈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펏에는 결단력이 필요하다. 경사도나 잔디 결에 따라 구르는 속도, 휘어지는 정도를 가상해 머릿속에 이미지 업시키고 그 선상에 표시한 후(가상표시) 후회 없는 스트로크를 해야 한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거리감 우뇌 퍼팅 훈련 심장 박동수 왼발 무릎

2025-04-03

[골프칼럼] <2263> 스윙 중간에 체중이동 멈추지 말아야

“골프스윙에 필요한 것은 몇 가지의 기본이며 그 기본이 평생 골프를 좌우한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골프스윙 중 가장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기본은 최초 어드레스(set up)부터 임팩트까지 흐트러짐이 없어야 한다.   어드레스를 시작으로 임팩트, 피니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에는 무려 147여 개의 근육조직 및 기술적인 면이 뒷받침되어야 비로소 한 번의 샷이 만들어진다. 여기에 강한 집중력의 정신적 측면도 한 목을 차지하며 이중 한 가지만 미흡해도 샷은 흔들리고 만다.   한 번의 샷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통상적으로 실수하는 것들은 대부분 정해져 있다. 실수하는 스윙의 1순위가 헤드업(head up)이고 2순위는 체중이동이다. 또 양발의 무릎 높이, 즉 어드레스 자세 때와는 달리 백 스윙과 다운스윙에서 높낮이가 변하는 것이다.   백 스윙에서는오른쪽 무릎이 펴지고 다운스윙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자신도 모르게 왼쪽 무릎을 펴고 그 상태에서 임팩트를 맞이하여 엉뚱한 구질의 샷을 만든다.   아마추어와 프로의 임팩트(impact)를 비교하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양 무릎 각도로, 주말골퍼의 경우 십중팔구 볼을 치는 순간 무릎이 심하게 펴진다. 이 오류는 실제 볼을 안치고 맨손으로도 꾸준한 연습을 통해 자신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무릎 펴짐의 주원인은 헤드업도 있지만 백스윙 때 오른발에 모아진 체중을 왼쪽으로 이동하는 임팩트 순간, 왼쪽 무릎이 펴지며 왼쪽으로의 이동을 중간에 차단하는 경우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구질은 슬라이스 내지는 푸시아웃(push out), 즉 오른손을 사용 볼을 우측으로 밀어내거나 탑핑(topping)이 주종을 이룬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윙기본개념이 바뀌어야 한다. 무릎의 펴짐은 단순한 무릎 펴짐 교정에 앞서 원인 제공처를 먼저 찾아 고쳐야 한다. 이러한 실수의 주원인은, 체중이동이 스윙 중간에 멈추기 때문이다.   체중이동이 멈추는 것은 임팩트 많을 염두에 두고 볼을 칠 때 순간적으로 일시 멈춤 현상이 생겨나 발생한다. 이에 따라 체중이동은 중간에 멈추며 이후 팔로스루(follow through)도 할 수 없다.   정상적인 스윙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겨지는 체중을 왼발 무릎이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을 치고 클럽헤드는 목표선을 따라 팔로스루를 끝내야 한다.   이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체중이 발바닥의 안쪽에서 안쪽으로 이동하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볼을 치는 순간에 왼발 무릎이 펴지는 이유는 다운스윙에서 오른발이 지면을 차며 연속적으로 다운스윙으로 이어질 때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 같은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운스윙에서 오른쪽 팔꿈치가 자신의 오른쪽 허리 부분에 도달할 무렵 오른발의 무릎에 힘을 빼고 다운스윙의 탄력을 받아 클럽헤드를 팔로스루로 연장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헤드업과 상체가 목표로 딸려 나감이 없어야 하고, 다운스윙 중 양 겨드랑이가 벌어지지 않고 어드레스 때 붙은 겨드랑이 상태를 지키며 임팩트를 맞아야 강한 구질과 정확도도 살아난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체중이동 스윙 왼발 무릎 스윙 중간 무릎 각도

2023-10-19

[골프칼럼] <2212> 상체 흔들림 스윙 망치는 지름길

다운스윙(downswing)과 클리어링 레프트 사이드(clearing the left side). 이는 탑 스윙으로부터 몸통과 팔, 그리고 클럽헤드가 볼과 목표를 향할 때 왼쪽 몸동작을 뜻하는 용어이다.       즉 몸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 볼을 칠 수 있도록, 연속 동작의 제동을 와해하는 순간 동작을 뜻하며 원만한 백스윙과 탑 스윙이 완성단계에 들어갔다 해도 다운스윙의 몸동작이 올바르지 못하면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 스윙이다.     왼쪽 무릎과 허리를 중심으로 다운스윙을 시작해야 한다는 이론에 집착하면 왼쪽 축인 왼발 무릎이 펴지며(collapse) 임팩트(impact)를 맞아, 왼쪽의 벽이 무너지는 실수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왼쪽 무릎이 펴지면 당연히 왼쪽 엉덩이가 등 뒤로 빠지고 왼쪽 몸이 등 뒤로 회전(spin)하며 왼쪽 어깨까지 뒤로 빠져, 클럽헤드가 볼을 깎아 치거나 덮어 치고 만다.     다운스윙이란 의도적이거나 강제가 아닌 자연적으로 발생돼야체중 이동은 물론 스윙의 흐트러짐 없이 강력한 힘을 발산할 수 있다.     이는 몸은 기계가 아니라는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같은 장소와 시간, 같은 장비를 사용해도 매번 달라지는 것이 스윙이고 구질이다.     따라서 우리의 몸은 기계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고 왼쪽 무릎이나 허리로만 다운스윙을 주도하면 몸이 목표를 향해 빠르게 열리며 여러 가지 실수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왼쪽의 벽(무릎과 허리)도 살리고 강한 임팩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탄력을 받아 내려오는 양손을 적절히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다운스윙에서 클럽섀프트(shaft)를 수직(하늘을 향해)으로 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신의 왼쪽 허벅지 쪽으로 끌어내린다는 개념 아래 다운스윙을 시작하면 체중 이동은 물론 몸의 흐트러짐이 없어진다.     이에 따라 왼쪽 벽도 무너지지 않고 클럽헤드에 자신의 체중도 옮겨 실을 수 있고 포워드 스윙(forward swing)과 함께 폴로 스루 (follow through)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실행할 때 주의할 것은 상체가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sway) 현상이 발생하면 스윙 축이 무너져 구질의 정확도는 물론 비거리의 손실도 따르게 마련이다. 즉 상체가 움직이면 하체의 움직임까지 같이 흐느적거려 클럽헤드가 볼도 치기 전 뒤땅치기는 예사이고 잡다한 구질들이 난무하게 나타난다.     “흔들리는 상체에는 목표가 없다”라는 것이 필자의 지론이다. 상체의 흔들림은 스윙을 망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숙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체가 움직이는 스웨이(sway)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백스윙의 크기를 축소(compact)하는 이른바 쓰리 쿼터(three quarter)인 3/4 정도의 백스윙이 최대크기로 연습해야 한다. 이와 함께 백스윙은 왼쪽 어깨가 자신의 턱밑까지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며, 탑 스윙의 높이가 3/4이 되도록 해야 흔들리는 상체를 잡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지름길 스윙 포워드 스윙 왼발 무릎 왼쪽 몸동작

2022-07-11

[골프칼럼] 무릎의 높낮이가 정확도를 만든다

골프 스윙 중 가장 어려운 부분은 최초의 어드레스(set up)자세를 임팩트 순간까지 흐트러짐 없이 유지하는 것이다.     어드레스를 시작으로 볼을 치고 피니시까지의 일련의 동작에는 근육과 관절 등 무려 300여 개의 조직과 기술적 측면이 뒷받침 되어야 비로써 한번의 샷이 만들어진다.     여기에 집중력과 정신적 측면까지 동원해야 한다는 것이 골프 스윙의 어려움이며 이중 단 한 가지만 미흡해도 샷이 흔들리고 소기의 목적 달성에 실패한다.     이렇게 한번의 샷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통상적으로 실수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정해져 있다.     실수하는 스윙의 1순위가 헤드업(head up)이고 이어 체중 이동, 그리고 양 발의 무릎 높이, 즉 어드레스 자세 때와는 달리 백 스윙과 다운 스윙에서 높낮이가 변한다.     백 스윙에서는 오른쪽 무릎이 펴지거나 밀리는 이른바 스웨이(sway) 현상과, 다운 스윙으로 이어지는 중간에 자신도 모르게 왼쪽 무릎을 펴며 볼을 치는 경우다.     이같이 아마추어와 프로의 임팩트(impact)를 비교하면 한눈에 나타나는 것이 양 무릎 각도를 들 수 있다.     물론 매일 꾸준한 연습을 통해야만 자신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주말 골퍼의 경우 십중팔구, 볼을 치는 순간 무릎을 심하게 펴거나 밀려나가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또한 백 스윙 때 왼쪽 허리가 지나치게 따라 돌며 오른쪽 무릎이 펴지면, 탑 스윙에서 상체가 왼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고정 축(머리)이 중앙에, 그리고 오른쪽에 있어야 할 중심 축이 왼쪽으로 바뀌며 오른쪽 팔꿈치까지 심하게 들리는 플라잉 엘보(flying elbow) 현상도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구질은 슬라이스 내지는 푸시아웃(push out), 즉 오른손을 사용 볼을 우측으로 밀어내거나 탑핑(topping)이 주종을 이룬다.     그리고 무릎의 펴짐은 단순한 무릎이라 단정하지 말고, 그 원인 제공 처를 사전에 봉쇄해야 한다.  만약 실수하는 샷이 발생할 경우 결과가 아닌 원인적 측면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 원인은 임팩트를 위해 무릎을 이용, 체중이동을 실행하다 볼 앞에 멈추는 것이 결정적 요인이다. 임팩트 순간에 체중 이동이 멈추는 것은 볼을 치겠다는 강한 집념의 부산물로, 볼 치기에 급급할 때 체중은 중간에 멈추며 이 후, 팔로 스루(follow through)도 할 수 없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겨지는 체중을 왼발의 무릎이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을 치고 클럽 헤드는 목표선을 따라 팔로 스루를 끝내야 한다.     이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스윙 중 체중이 왼쪽 발바닥 안쪽에서 오른발 안쪽으로 이동하며 왼발을 축으로 오른쪽 무릎과 허리가 부드럽게 따라 돌아야 한다.     주로 왼발 무릎이 펴지는 경우는 다운 스윙에서 오른발이 지면을 차며 뒤꿈치가 들리며 다운 스윙으로 이어질 때 발생한다. 따라서 골프 스윙에 필요한 것은 몇 가지 정석이 기본이며 그 기본 중에 무릎 높이가 샷의 정확도를 가늠한다는 걸 명심해둘 필요가 있다.     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골프 높낮이 왼발 무릎 발의 무릎 무릎 각도

2022-06-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